한강유역 이해관계자 80%, 통합물관리 성공 위해 중소유역 거버넌스 정착이 중요해

 

○ 한강수계 5개 시⋅도 연구원, 통합적 관리 필요한 한강유역 물 관련 현안 49개 제시
○ 전문가, 시민사회,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중소유역 거버넌스 기반의 상향식 행정체계 신설해야
○ 중소유역 거버넌스 중심의 현장 물 문제 해결 위해 물관리기본법 개정 필요해

 

치수(治水), 이수(利水), 수질 개선 등 한강유역 현장의 물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기본법을 개정해 통합물관리 예산을 별도로 확보하고, 지역의 중소유역 거버넌스가 물관리 사업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7일 물관리기본법의 제정과 중앙정부의 물관리조직 일원화 등을 계기로 서울, 인천, 강원, 충북연구원 등 5개 시⋅도연구원과 공동으로 한강유역 현장의 물 문제 해결방안을 연구한 ‘통합물관리를 위한 한강유역 거버넌스 구축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공무원 등 한강유역 내 이해관계자 119명을 대상으로 통합물관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현장의 물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계획을 수립할 법적근거가 없다’는 의견이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장문제 해결 중심의 정책이 없다’는 의견이 25.2%를 차지했다.

또한, 응답자의 68.0%는 통합물관리와 거버넌스 정착의 상관성이 높다고 응답했으며, 79.9%는 통합물관리의 성공을 위해서는 중소유역 거버넌스의 정착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한강수계 5개 시⋅도 연구원은 수질과 수량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인 하천사업, 상수원 규제 해제 요구와 하류지역 수질오염 우려로 인한 상⋅하류 주민갈등 등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한강유역의 물 관련 현안 49개를 제시했다.

또한, 기존의 물 관리 체계는 중앙정부가 20개 이상의 물 관련 국가계획을 부문별로 수립한 후, 이 계획에 근거해 지방정부가 하위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하향식(Top-Down) 체계로 예산집행이 경직되어 있어서 지역의 현안해결에 부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이기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의 현장 물 문제를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중소유역 거버넌스가 해결책을 제시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상향식(Bottom-Up) 행정체계를 추가로 만들면 보다 완전한 형태의 물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거버넌스가 중심이 되어 현장 물 문제를 발굴하고 사업추진 및 사후관리를 담당하는 상향식 행정체계가 통합물관리의 핵심이다”라며 “새 행정체계가 작동하려면 이를 지원하기 위한 근거 규정이 명시돼야 하므로 물관리기본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강유역의 통합적인 물문제 해결을 위한 물관리기본법 개정 방안으로는 ▲유역내의 거버넌스가 발굴한 물 관련 현안 중 통합물관리 관점에서 시급하게 해결해야할 사업을 선정해 예산을 지원할 것 ▲국가물관리위원회 뿐만 아니라 유역물관리위원회에도 사무국을 설치할 것 등을 제안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물 관리는 중앙정부 중심의 하향식 체계를 통해 치수, 이수, 수질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으나, 상하수도⋅하천정비 등 분야별 인프라의 완성단계 이후로는 더 이상 발전하지 않고 정체되고 있다”며 “현장의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장을 잘 아는 중소유역 거버넌스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경기도뉴스포털

 

 

 

지속가능한 먹거리, 지역주민과 직접 만든다

 

 

 

 

유성구, 도시형 푸드플랜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타운홀미팅 개최

 

대전 유성구(구청장 정용래)가 도시형 푸드플랜 연구용역 완료에 앞서 지역주민이 스스로 만드는 먹거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27일 구청 대회의실에서 주민과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타운홀미팅은 지난 2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유성구를 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을 위한 선도지자체로 선정한 이후 주민과 공감하는 연구용역 결과를 도출하고, 거버넌스를 더욱 확산하고자 기획되었다.

 

구는 지난 7월부터 푸드통합지원센터를 도시형 푸드플랜 수립을 위한 거점플랫폼으로 활성화하여 먹거리 공공성과 기본권을 강화하고 먹거리 관련 다양한 이슈를 통합‧관리해왔다.

 

특히 그동안 추진해온 유치원과 어린이집 500개소에 대한 지역농산물 식재료 공급과 지역먹거리 활용 가공식품 생산, 직매장 등 관련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정용래 구청장은 “먹거리를 매개로 민관이 함께 협력하는 거버넌스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먹거리 사업이 지역주민의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내도록 도시형 푸드플랜 수립과 정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출처-유성구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