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분야 고급인재의 산실, 인공지능대학원 '카이스트, 고려대, 성균관대' 확정

 

 

세계적으로 전문인력의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인공지능분야의 국내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2019년도 인공지능대학원 지원 사업의 최종 3 대학이 확정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 3 4()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려대, 성균관대 2019년도 인공지능대학원으로 최종 선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공지능대학원 지원사업은 미국, 중국 해외 주요국에서 인공지능에 특화된 전문학과를 설립하여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하는 추세에 맞추어 추진하게 되었다.

 

매사추세츠공과대(MIT) : 10억$ 투입하여 인공지능 단과대학 설립(19년 예정)

카네기멜론대(CMU) : 세계 최초 머신러닝학과 석·박사과정 개설(02)

중국은 ‘AI+X’ 복합 전공 100개 개설 및 AI 단과대·연구원 등 50개 설립 목표

 

정부는 인공지능 핵심(Core) 지식과 분야와의 융합 역량(AI+X) 갖춘 최고급 선도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7차례에 걸쳐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 대학 등의 의견을 듣고, 전문화된 커리큘럼과 전임교원(7 이상) 확보, 석‧박사과정(입학정원 40 이상) 운영하는 학과를 개설하는 방식으로 시작하게 것이다.

   *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17. 11, 18. 2, 6) 및 의견 수렴(18. 3, 5, 10, 12)을 통해 인공지능대학원 지원계획 마련

 

지난 1 신청 접수를 받은 결과 국내 유수 12 대학이 신청 가운데, 특화된 커리큘럼, 산학협력 국제공동 연구 등에 대해 대학의 교육여건과 특성에 맞게 차별화된 운영계획 자유롭게 제안하도록 하였고 이중 3 대학이 선정되었다. 선정 대학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세계적 연구 역량을 갖춘 전임 교수진을 확보(19 10  23 20 예정)하고, 23 이후에는 인공지능대학원을 넘어 단과대 수준의 인공지능대학*(College of AI)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 현재의 5개 단과대학(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기술대학, 공과대학,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경영대학) 체제에서 인공지능대학이 추가된 6개 대학 체제로 전환

  - 또한, 경기도 판교를 아시아 최고 인공지능 밸리로 육성하려는 계획도 담고 있다.

  고려대학교 인공지능 분야 최고급 인재를 집중 양성하기 위해 박사과정(석박사 통합 박사) 중심으로 운영하고 글로벌 최우수 컨퍼런스 등재를 졸업요건으로 학생들의 연구성과를 강화할 예정이다.

  - 특히, 헬스케어, 문화콘텐츠, 자율주행, 에이전트 4 특화분야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융합 역량(AI+X) 갖춘 최고급 인재를 양성한다.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교육·연구 역량을 집중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15명의 전임 교수진을 결집하여 전문화된 교육·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 또한, 현장 중심의 인공지능 혁신 연구를 위해 삼성전자 39 기업과 협업하여 산업 중심의 산학협력 체계를 강화 예정이다.

< 인공지능대학원 선정 대학 정원 현황 >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학생정원

(신입생 기준)

60

- 석사 : 40

- 박사 : 20

50

- 석박사통합 및 박사과정 : 50

60

- 석사 : 45

- 박사 : 15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대학에 올해 10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90 원을 지원하며, 향후 단계평가를 거쳐 최대 5(3+2) 추가하여  10년간 190 원까지 지원 예정이다.

  * 19년도(1차년도) 10억원, ’20년도(2차년도) 이후 20억원 수준

  선정된 3 대학은 19 2학기(가을학기, 9)부터 인공지능 관련 학과를 개설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4 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은 사람에 대한 투자로 보고, 인공지능대학원이 최고 수준의 인재 배출 요람으로 역할을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향후, 인공지능 관련 인력양성 연구개발(R&D) 사업에서 지역 대학이 지방의 거점 역할 있는 다각적인 방안들도 함께 강구할 것”임을 밝혔다.

 

붙임  2019년도 인공지능(AI)대학원 선정 대학별 운영방향 특징

 

 

 

 

 

 

 

 

참고

 

 인공지능대학원 선정 대학별 운영방향 특징

 

1

 

한국과학기술원(KAIST)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를 통해 글로벌 AI 선도대학 발전

  세계 최고 연구자의 전임교원을 23년까지 20(19 10) 확보하고 세계 Top 컨퍼런스 논문 출판 질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 창출

   * AI대학원 전임교원은 AI 분야 세계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한 교수진으로 구성

  23 이후에는 AI대학원을 넘어 AI대학*(College of AI)으로 발전

   * AI대학원, AI학부, AI연구원으로 구성하고 현재 5개 단과대학 체계에서 6개로 확대

AI 미래의 원천기술을 연구하는 글로벌 리더급 AI 핵심 인재 양성

  입학정원 60(석사 40, 박사 20) 확보하여 23년까지 270 양성을 통해 석박사급 고급인재 110(석사 85, 박사 25) 배출

  AI 핵심(전공필수 3, 전공선택 13), AI 심화(전공선택 13)  머신러닝, AI 핵심 연구 중심의 교과과정 운영  수준별 맞춤 교육

  해외 유수대학(MIT, CMU 6), 글로벌 기업(구글, IBM 5), 국내 기업(네이버 9) 공동연구  교육 협력프로그램 개발

   * 국내·외 유수 AI 기업 인턴십(1학기 이상)을 졸업 요건으로 의무화

주력산업의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AI+X 융합인재 양성 병행

  분야 겸임교수 20여명이 참여, AI+X(반도체, 통신, 자동차, 바이오, 의료 5 분야) 특화 교육과정 개설(20 이상)  융합인재 양성

판교, AI대학원 산학협력센터를 설치하여 아시아 최고 AI 밸리 육성

  AI 기업과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AI 교육을 제공하고 산학협력과 스타트업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AI 기업 육성 지원

 

2

 

고려대학교

 

질적 연구성과를 강화시켜 세계 최고 권위의 교육·연구 기관으로 성장

  AI대학원 신설과 함께 AI연구소’ 설립 통해 연구 교육지원을 강화하여 세계 최고 권위의 교육·연구 기관으로 성장

  - AI 분야 글로벌 최우수 컨퍼런스 등재 연구성과를 강화하는 동시에 박사 졸업 요건으로 지정하여 학위 논문 질적 강화

  AI 분야 국내외 석학을 28년까지 25(19 7) 확보하고 산학협력 강화를 위해 산업 현장의 전문가도 지속적으로 채용

50여개 국내외 기업·대학·연구소와 협력하여 세계적 수준의 박사급 AI 인재 양성

  매년 50(석박사 통합 박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하여 23 이후 200여명의 박사과정을 운영하고 매년 50여명 박사 배출(23 이후)

  - (학술인재) 세계 유수 대학·연구소(CMU, MIT, UC Berkeley, 막스플랑크연구소 15) 등과 국제공동 연구를 추진하여 AI 핵심 연구자 양성

  - (산업인재) 국내외 AI 글로벌 기업(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38)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산업체 인턴십을 의무화

  - (창업인재) 우수한 AI 박사들의 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해 고려대의 창업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28년까지 우수 벤처기업 10 기술창업

  기초전공(확률통계학 5) 기반전공(AI 핵심 12) 심화전공(AI+X 16) 산학·창업연계(인턴십, 창업 15)  체계적인 AI 핵심 교과목 개설

4대 특화분야(헬스케어, 에이전트, 문화콘텐츠, 자율주행) AI+X 핵심 연구

  설명가능한 질환 진단 기술, 사용자 맞춤형 에이전트 기술, 협동형 멀티플레이터 게임 AI 기술, 자율주행 4~5 단계를 위한 AI 기술  AI+X 특화 연구를 위한 산업체 현장 데이터 기반의 연구 강화

 

3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 중심으로 인공지능 교육‧연구 강화하여 글로벌 대학 성장

  기존 AI 로봇학과(융합과정, 정원 20) 확대 개편하여 60(석사 45, 박사 15) 입학정원을 우선 확보하고 향후 정원 확대(21 이후 60)

  19년에 AI SW, HW 분야에 15명의 전임교원을 확보하고 4 그룹(M, E, G, A) 분야로 나눠 전문화된 AI 핵심기술 교육‧연구 추진

Multi-Modal

(복합지능)

다양한 상황데이터를 통합 분석‧인식‧인지하는 지능 연구

→ 빅데이터 통합 분석, 빅데이터 분석 기반 문맥 이해 등

Expeditive

(신속 지능)

SW-HW의 긴밀한 결합을 통해 빠르고 가볍게 구현되는 지능 연구

고효율 뉴로모픽칩 설계, 하이브라드형 AI 엑셀러레이터 구조 연구 등

Generative

(생성 지능)

변화 상황에 대응하여 스스로 발전하는 지능 연구

→ 강건하면서 해석 가능한 AI 모델 연구, 비지도 학습 모델 설계 등

Actionable

(행동 지능)

상황을 인지 추론하여 행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지능

총체적 상황인지 이해모델, 무경험에서 스스로 학습하는 강화학습 연구 등

 

MEGA 연구를 바탕으로 제조업, 헬스케어, 비즈니스  3 분야 응용연구를 위해 해당 분야별 겸임교수( 15) 참여하여 공동연구 진행

현장 중심의 AI 혁신 연구를 위한 수요 기반의 교육과정 및 산학협력 운영

  기초(통계 6), 핵심(기계학습 26), 심화(심층학습 11), 프로젝트(SW/HW 설계 3), 응용(AI+X 6) 등으로 교과과정 구성

  삼성서울병원, 삼성전자, LS산전, 네이버, 엔씨소프트 39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AI+X 융합 매칭연구 공동교육 제공

글로벌 역량 강화 및 학생 주도의 창의 자율연구

  해외 유수기관, 대학과의 연구‧교육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글로벌 AI 컨소시엄 구성하고 공동연구 추진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소형위성 1호, 기상악화에 따라 12월 2일(일) 이후로 발사 연기

 

 

 

차세대소형위성 1호, 기상악화에 따라
12월 2일(일) 이후로 발사 연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신성철, 이하 ‘카이스트’)‘차세대소형위성 1호’의 발사가 현지 기상악화에 따라 당초 11월 29일(목)에서 12월 2일(일) 이후로 연기되었다고 밝혔다.

발사주관 업체는 발사 예정일의 기상상황을 분석한 결과, 발사장에 강한 바람이 예상되는 등 기상환경이 적절하지 않아 발사를 연기하게 되었으며, 기상조건이 충족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인 오는 12월 2일(일) 오전 3시 32분 이후에 발사를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발사체와 결합한 상태로안전하게 보관되며, 현지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카이스트 연구진이 위성상태를 지속 점검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신성철, 이하 ‘카이스트’) ‘차세대소형위성 1호’의 발사가 현지 기상악화에 따라 당초 11 29()에서 12 2() 이후로 연기되었다고 밝혔다.

  발사주관 업체는 발사 예정일의 기상상황을 분석한 결과, 발사장에 강한 바람이 예상되는 기상환경이 적절하지 않아 발사를 연기하게 되었으며, 기상조건이 충족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인 오는 12 2() 오전 3 32 이후에 발사를 재개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발사체와 결합한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되며, 현지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카이스트 연구진이 위성상태를 지속 점검할 예정이다.

 

 

 

미국 NASA 아틀란티스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왕복선 애틀랜티스호를 07.3.19 발사 예정이었으나, 우박을 동반한 폭풍으로 6.8 발사됨

브라질 우주로켓 VSB-30

  07.7.12 발사예정이었던 브라질의 탐사용 우주로켓 VSB-30 발사 일정이 비로 인해 연기되어 7.23 발사됨

일본 H-2A 로켓

  09.1.21 발사 예정이었던 일본의 H2A 로켓은 구름과 낙뢰 인해 1.23 발사를 실시하였으며, 지구 대기권의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측정을 위한 위성‘이부키’를 목표 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시킴

미국 NASA 엔데버호

  우주인 7명을 실은 NASA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당초 09.6.13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선체 결함과 악천후 으로 6차례 발사가 연기된 7.19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됨

미국 스페이스X ‘팰컨(falcon)-9

  17.1.9 미국 통신기업 이리듐의 통신위성을 싣고 발사 예정이었던 스페이스X ‘팰컨-9 발사체가 발사 당일 강한 비바람 예상되어 1.14 연기하여 발사됨

 

붙임 2

 

 발사체 발사장 개요

 

발사체

  팰컨(Falcon)-9 : 미국 SpaceX 제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falcon9-rend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4pixel, 세로 5414pixel

개발 발사 역사

기술 기원

Falcon-9 발사체는 2 로켓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엔진은 Falcon-1 엔진 9개를 묶어 저궤도, 정지궤도 다용도 발사체로 사용하고 있음

발사성공률

(18.11 기준)

64 발사 62 발사 성공(신뢰도 96.9%)

제원

크기

길이 : 55 m       직경 : 3.66 m

발사시 중량

1 : 433,100 kg   2 : 111,500 kg

엔진 추력

1 : 7,607 kN     2 : 934 kN(진공상태)

발사 능력

 저궤도(LEO) 질량 10,450 kg 위성 발사 가능

 정지궤도(GTO) 질량 4,540 kg 위성 발사 가능

 

발사장

  미국 LA 소재 반덴버그 공군 기지(Vandenberg Airforce Base), SpaceX 임대하여 발사용역을 대행함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 Recent posts